|
세계영화사 |
독일 표현주의 영화 |
2010년 10월 30일 |
독일 표현주의/실내극/거리영화
주요 감독, 작품, 특징들
표현주의 영화란 20세기 초 독일과 오스트리아를 중심으로 유행하던 미술사조인 표현주의를 영화로 차용해온 것이다. 미술사적인 의미에서 표현주의는 '형태가 객관적인 현실로부터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현실에 대한 주관적인 반응으로부터 나타난다고 보는 미술 운동'을 의미한다. 표현주의는 영화로 건너오면서 다분히 미술적인 경향을 지니게 된다. 그래서 독일의 표현주의 영화는 무엇보다 미장센에 크게 의존하였다. <칼리가리 박사의 밀실>에서 등장하는 아이리스(Iris : 연극용 조명기에 쓰이는 빛 조절 장치) 샷에서 보여지듯이 이러한 미장센과 표현양식은 표현주의 미술의 영향을 받은 표현주의 연극의 무대 디자인을 그대로 영화로 옮겨온 것이다. 감정적인 면을 중요시하고, 과장, 전도의 효과를 중요시하는 표현주의 연극의 특징은 영화로 다시 옮겨지게 된다. 그래서 영화에 등장하는 배경은 현실적인 공간이 아니라 주인공의 의식에 의해 왜곡되고 과장되며, 그러한 요소들이 개별적으로 독립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한 편의 독특한 그림을 연상시키듯이 상호작용한다. <칼리가리 박사의 밀실>의 무대 장치를 맡은 사람 중 하나인 화가 바름은 “영화는 살아있는 그림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주요 감독, 작품
로베르토 비네 Robert Wiene (1873~1938)
1919년 <칼리가리 박사의 밀실 Das Cabinet Des Caligari / The Cabinet Of Dr. Caligari>
프리츠 랑 Fritz Lang (1890~1976)
1919년 <거미 The Spider>
1922년 <마부제 박사 Dr. Mabuse>
1924년 <니벨룽겐의 노래 Die Nibelungen>
1927년 <메트로폴리스 Metropolis>
프리드리히 빌헬름 무르나우 Fredrich Wilhelm Murnau (1889~1931)
1922년 <노스페라투 Nosferatu>
1922년 <유령 Phantom>
1924년 <마지막 웃음 Der Letzte Mann>
폴 레니 Paul Leni
1924년 <밀랍 인형 진열장 Das wachsfigurenkabinett>
루푸 피크 Lupu Pick
1921년 <철로 Scherben>
1923년 <성 실베스트르의 밤 Sylvester>
카를 그루네 Carl Grune
1923년 <거리 The Street>
파프스트 G. W. Pabst
1925년 <쓸쓸한 거리 The Joyless Street>
1928년 <판도라의 상자 Die Buschse der Pandora>
'MOVI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영화사 요약 (205~222p) (0) | 2018.04.19 |
---|---|
전함 포템킨 Bronenosets Potemkin (1925) (0) | 2018.04.19 |
메트로폴리스 Metropolis (1927) (0) | 2018.04.18 |
세계영화사 요약 (71~82p, 273~305p, 533~542p) (0) | 2018.04.18 |
선셋 대로 Sunset Boulevard (1961) (0) | 2018.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