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영화사 |
71~82p, 273~305p, 533~542p |
2010년 10월 14일 |
I. 할리우드 스튜디오 시스템 – 더글러스 고머리
1. 제작 시스템
A. 1910년대 말 ~ 1920년대 초 시작된 스튜디오 시스템
B. 스타 시스템
i. 유나이티드 아티스츠
C. 촬영 대본
D. 토머스 인스의 표준적 스튜디오
i. 스튜디오 사장, 영화감독, 연출, 촬영, 대본, 미술 감독, 분장사, 캐스팅 감독, 다중 카메라 숏
2. 배급과 시장 통제
A. 주요 영화사
i. 아돌프 주커의 페이머스 플레이어스는 미국 영화관의 1/4을 지배했고, 극장 체인을 만들었다.
ii. 마커스 로는 MGM(메트로 골드윈 메이어) 설립
iii. 윌리엄 폭스의 확장
iv. 유나이티드 아티스츠도 극장 체인을 만들었다.
B. 시장 통제
i. 1차 세계대전으로 전 세계에 배급망 확장
ii. 해외 이익 극대화를 위해 미국 영화 제작 배급사 협회(MPPDA) 결성
iii. 1920년 중반, 영어권과 대부분 유럽 대륙 지배, 중남미와 카리브 해까지 시장 확장
iv. 일부 독립적인 스튜디오 시스템이 성장한 곳 – 일본, 독일
v. 많은 나라들이 할리우드의 침투를 막기 위한 정부 차원의 조치를 취함
3. 영화 궁전
A. 영화사들은 제작과 배급에 이어서 상영까지 사업을 확장함 – 완전 통합 시스템
B. 발라반 앤드 카츠사는 영화 궁전에서 경제 시스템 발전
C. 이러한 시스템은 대공황 이전의 격렬한 시기에 최고조에 이름 그러나 곧 대공황의 충격과 텔레비전과 라디오의 등에 주춤한다.
II. 할리우드 스튜디오 체제의 대승리 – 토머스 샤츠
1. 1930년대의 미국 영화 산업
A. 1931년 대공황으로 대부분의 메이저 영화사 몰락, 워너 브라더스만 1/4로 축소하며 살아남음
B. MGM은 적은 극장 체인 수와 탄탄한 자본 그리고 우수한 영화를 바탕으로 오히려 성장함.
C. 작은 메이저들인 컬럼비아, 유니버설, UA는 극장 체인을 소유하지 않아서 부채가 없어서 형편이 괜찮았기 때문에 성장할 기회를 잡을 수 있었다.
D. UA는 A급 영화를 배급했지만, 컬럼비아와 유니버설은 B급 영화를 제작하기 시작한다.
E. 경제적으로 어려운 관객을 끌어들이기 위해 동시 상영 극장 등장했고, B급 영화의 수요를 형성함.
F. 월 스트리트와 워싱턴, 연방 정부의 재정적 지원으로 영화계가 살아남
G. 1930년대에 영화업계에 대한 광범위한 법규 제정은 경제 회복을 촉진시켰고, 영화 제작 과정을 안정시켰으며 메이저 스튜디오들의 업계 통제력을 강화했다.
2. 1930년대의 스튜디오 경영
A. 1930년대 영화의 경영과 소유는 분리됨으로써 현대적인 기업들로 발전함
B. 책임 프로듀서 시스템에서 좀 더 융통성 있는 유닛unit 방식으로 대체됨
C. 유닛 제작 체제로의 전환에서의 예외 - 20세기 폭스, 컬럼비아
3. 1930년대 스튜디오의 영화 제작
A. A급 영화, B급 영화, 특상품 영화들 제작했다.
B. 가장 중요한 상품은 스타들과 장르 공식에 의존하는 A급 영화였다.
C. 초창기에 각 스튜디오들은 개성을 가지고 있었다.
D. 주요 영화
i. 프리디 유닛, 하디 가족 시리즈, 오즈의 마법사, 풋내기들 등
4. 1940년대로 : 임박한 전쟁
A. 1939년을 할리우드 최고의 해로 꼽는 데 MGM의 작품들이 큰 기여와 1940년대의 할리우드의 몰락이 있었다.
B. 미국 정부의 스튜디오들의 반독점 조사
i. 파라마운트 소송 사건
C. 2차 세계대전 발발
i. 해외 매출 급감
ii. 미국 정부의 방위 체제 구축을 위한 군사력 증강에 의해 영화 업계도 타격
iii. 1941년 전쟁 관련 영화 제작에 박차를 가하면서 확실한 참전 의지와 전시 대비 체제 구축을 옹호하는 영화 제작
iv. 최상급 영화 수요 증가로 스튜디오들은 독립 제작자들에게 제작을 맡긴다.
v. 1940년대 초반 각종 노조의 등장으로 독립 제작자들과 계약 제작자들의 권한이 커진다.
5. 전쟁 특수
A. 미국이 전쟁에 참전하면서 할리우드와 정부는 의기투합한다.
B. 영화의 1/3이 전쟁 영화였고, 법무부의 유예로 스튜디오들은 다시 영화 시장의 통제력을 회복한다.
C. 미국의 전쟁 분위기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기록적인 수입 증가를 만끽한다.
D. 방위 산업 공장의 노동자들이 곧 입장객이 되었고, 해외 교역에서도 기록적인 수입에 도달한다.
E. 전쟁특수는 1945년까지 지속되었고, 1946년에는 반할리우드 추세가 극심해졌다.
III. 검열과 자율 규제 – 리처드 몰트비
1. 영화 검열의 기원
A. 초기에는 국가의 언론 또는 연론 기관으로 간주되지 않았고, 언론 자유 보장 조항에 의해 보호받지 못했다.
B. 1906년 영화 상영 시설이 화재와 위생에 취약했기 때문에 규제를 받는다.
C. 지방 정부의 통제가 확산되자, 영화 자체적으로 자율 규제를 위한 기관들이 설립되기 시작한다.
D. 1908년 MPPC가 설립되고, MPPC는 검열 위원회를 설립한다. 이 검열 위원회는 영화의 표준 형식의 개발한다.
E. 이데올로기를 주입시키는 정치적인 검열이 존재했다.
F. 튼튼한 자국 영화 제작 산업을 가지고 있는 나라에서는 검열 관련 법령이 보호주의의 형태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2. 할리우드와 자율 규제
A. 대부분의 나라에서 정부가 지정한 기관이 검열의 기능을 했지만, 그 과정에서 항상 업계가 많은 부문에 참여했다.
B. 자율 규제는 자발적인 협력의 표시로서뿐만 아니라 영화 산업에 대한 정부의 폭넓은 규제 요구를 피해갈 수 있는 수단으로 정당화되었다.
C. 1924년 헤이스는 영화의 원작을 심의할 수 있는 포뮬라라는 규제를 제정했다.
3. 참전과 전후
A. 정치적인 검열이 엄격하게 진행되었고, 일부 나라에서는 시장 폐쇄 조치까지 취하였다.
B. 전시하에서 성과 폭력에 대한 검열은 취약했다.
C. 전쟁 후, 독일과 일본은 점령국의 군사 정부 검열에 따라야 했고, 엄청난 미국 영화들을 받아들여야 했다.
IV. 할리우드 시스템의 변화 – 더글러스 고머리
1. 제작상의 변화
A. 할리우드는 관객들을 다시 극장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혁신과 신기술을 도입했다.
B. 가정의 흑백과 비교되는 컬러 영상에 와이드스크린과 스테레오 사운드 등이 도입되었다.
C. 3D 영화가 도입되었지만 비용이 매우 커서 시장성이 없었다.
2. 텔레비전과의 화해
A. 영화사의 촬영장을 TV 연출가들에게 빌려주었고, 기술자들도 TV에서 일거리를 얻었다.
B. 1954년 RKO 소유주 하워드 휴스를 시작으로 영화들이 TV로 방출되었다.
C. 1955년에는 메이저 영화사들이 TV용 특별 영화 제작까지 참여했다.
3. 생존을 위한 투쟁
A. 1950년대 새로운 경제 상황을 이겨내기 위해 스튜디오에서는 구조 조정이 실시되었다.
B. 구조조정 결과 영화사들은 평준화되어 같은 조건으로 경쟁하게 된다.
4. 작품
A. 할리우드는 관객의 저변을 넓히기 위해, 검열 기준을 대폭 완화 한다.
B. G, PG, R, X로 나이에 따라 영화 등급을 체계화 시키는 최후의 서방국가가 된다.
C. 감독들은 대부분 자신의 영화사를 가지고, 메이저 영화사를 통해 배급했다.
D. 스튜디오 시스템은 좀 더 유연한 독립 제작이라는 체제로 보완되었다.
'MOVI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일 표현주의 영화 (0) | 2018.04.18 |
---|---|
메트로폴리스 Metropolis (1927) (0) | 2018.04.18 |
선셋 대로 Sunset Boulevard (1961) (0) | 2018.04.18 |
마부 (1961) (0) | 2018.04.18 |
세계영화사 요약 (112~121p, 263~272p) (0) | 2018.04.18 |